오늘 포스팅에서는 제품 디자인 목업 (Design mockup)과 워킹 목업(Working mockup)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목업이란 단어의 의미부터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시제품, 프로토타입(Prototype) 등으로 많이 알려진 작업으로 제품 개발 과정에서 양산 전에 제품의 최조 디자인 및 설계 검증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1. 2가지 목업의 차이점
그렇다면 제품 디자인 목업과 워킹 목업의 차이점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가장 큰 차이는 바로 용도와 목적입니다. 전자의 경우는 단순 외형 디자인아 설계 검토를 위한 목적이라면 워킹 목업은 실제 제품과 동일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적용된 샘플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 양산품과 동일한 형태로 완제품을 제작하기 때문에 정밀도나 소재 등의 조건들이 좀 더 중요해집니다.
예를 들어서 제품 개발 과정에서 내부 확인을 위한 용도로 시제품을 제작한다고 가정했을 때 별도의 후처리나 도색 작업은 생략해도 무관합니다. 또한 단순히 외형 디자인 검토만 이루어질 경우에는 굳이 내부 PCB나 관련 부품과 같은 것들을 조립할 필요도 없겠죠. 그러나 실제 제품의 성능이 사용자 입장에서 만족스러운지 또는 불편함은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부품 조립성의 검증이 요구될 때는 좀 더 높은 정밀도가 요구됩니다. 또한 내/외부 각종 행사에 참석하여 바어이 발굴이나 잠재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때는 보여지는 제품의 디자인과 퀄리티 부분도 신경써야 하기 때문에 후처리나 도색 작업 역시 요구됩니다. 이처럼 제품 디자인 목업과 워킹목업은 제작물에 요구되는 다양한 성격과 조건을 고려하여 제작해야 하며 목업의 분류를 나눌때 가장 이해하기 쉬운 기본적인 분류법입니다.
2. 목업 제작 방법
그렇다면 이와 같은 샘플 제작 단계에서는 어떤 가공 방법들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제품 제작 방법을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 현재 제조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목업 제작 방법이라면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3D프린팅과 CNC 가공 방법 입니다.
제품 디자인 목업이나 워킹 목업 같은 경우는 제품 개발 단계에서 샘플 테스트 목적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서 다품종 소량생산이나 단품 생산이 주로 요구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소량 제작 시에는 3D프린터를 활용한 출력 방법을 통해서 제품 목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CNC 가공품의 경우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높은 정밀도,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만들어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품종 소량생산에는 다소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가공 방식을 선정할 때는 이처럼 제품에 요구되는 여러가지 조건이 고려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워킹 목업 제작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3. 견적 문의 방법
제품 디자인 목업 및 워킹 목업 제작을 위해서는 2D 또는 3D 형태의 CAD 데이터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해당 디자인 설계 도면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자체 제작 또는 외주 업체에 도면 작업을 먼저 선행하신 후에 시제품 제작 단계에서 요구되는 비용과 제작 기간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주식회사 본시스템즈에서는 제품 디자인부터 기구 설계, 목업 제작까지 제조 관련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제품 제작 관련 문의 및 기타 상담은 자사 홈페이지 견적문의란을 이용하시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제조 서비스 > 시제품, 목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시제품 제작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3가지 팁(TIP) (0) | 2022.05.18 |
---|---|
알루미늄엔클로저 금속시제품 가공 사례 (0) | 2022.05.06 |
3D프린팅을 활용한 플라스틱 분전반 및 배전반 제작 사례 (0) | 2022.05.01 |
핸드 프레스 금속 가공 업체 소량생산 제작 사례 (0) | 2022.04.30 |
국가 R&D 국책 과제를 위한 시제품 제작 업체 (0) | 2022.04.28 |